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

대부분의 비행기는 왜 흰색일까

상상 만으로도 설레게 하는 해외여행의 백미는 바로 비행기 탑승이다. 공항 활주로에 서 있거나 날아가는 비행기는 여행에 대한 기대감을 준다.

비행기는 왜 대체로 흰색 또는 하늘색 등의 밝은 색일까?


미국 미즈니스 인사이더는 매사추세츠공과대학(MIT)의 항공공학과 교수 R. 존 핸스맨에게 비행기가 대부분 흰색 등 밝은 색인 이유를 들어보자.

핸스맨 교수에 따르면 흰색 등 밝은 컬러는 태양빛을 반사해 열 보존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전했다.

여름에 검은색 티셔츠보다 흰색 티셔츠를 입었을 때 체온이 더 낮아지는 것과 같은 효과라고 볼 수 있다.

비행기는 이륙과 착륙 시, 그리고 고도를 비행할 때 기체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.

이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빛과 열의 흡수를 최소화해야 한다.

이중 가장 효율적인 흰색 또는 밝은 색을 사용한다.



뿐만 아니라 열 반사 효과를 통해 기체의 온도를 낮추는 것은 비행기의 냉방 비용을 절약하는 데에도 효율적이다.

비행기가 흰색이나 밝은 색일 경우의 장점이 있다.

연료가 유출되거나 부식이 발생했을 때 빨리 인식할 수 있고, 찌그러짐 등 기체 외벽에 문제가 생겼을 때에도 더 쉽게 알아챌 수 있다.

그렇다면 프로모션용 전용기 등 일부 비행기처럼 검은색이나 빨간색 등 짙은 색의 비행기는 운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까?

핸드맨 교수는 짙은 색으로 칠하는 것이 큰 문제를 유발하는 것은 아니지만, 짙은 색의 페인트가 햇빛에 노출됐을 때 더 빨리 산화될 수 있다고 전했다.

핸드맨 교수는 “일부 항공사는 자사 기체를 흰색 등 밝은 색이 아닌 메탈 컬러 등을 이용하기도 했지만, 문제는 변색됐을 때 다시 채색하는 비용이 든다는 것”이라고 전했다.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죽기 1초 전 마지막 순간 눈에 스쳐 지나가는 '13가지' 현상

키 6cm큰다는 키 크는 수술의 실체

사탄도 진도 못따라오는 캄보디아 예능